2SFCA(2 Step Floating Catchment Area) 분석 실습

2024. 11. 2. 16:08QGIS

본 포스팅은 2024학년도 인구지리학 11월 4일자 과제물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.

 

2SFCA 분석은 GIS를 이용하여 각 수요지점별로 서비스에 대한 공간 접근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. 2SFCA 분석은 공급 단계와 수요 단계의 2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공급 단계에서는 각 서비스 공급 지점에 대해 서비스 반경 내에 존재하는 모든 수요 지점에 대한 공급 레벨 (여기서는 인구 1인 당 공급 능력)을 구합니다. 수요 단계에서는 각 수요 지점에 대해 가용 가능한 모든 서비스 공급 지점의 공급 레벨을 합산하여 접근성을 평가합니다. 여기서는 각 수요 지점이 동의 중심점에 위치하며, 반경 1km까지만 유치원의 공급이 가용 가능하다고 설정하였습니다.

 

이렇게 설명하면 뭔지 잘 모르겠으니 직접 실습을 해 보면서 2SFCA 분석의 원리를 간단히 재현해 보겠습니다.

 

준비 데이터: 서울시 동별 인구 데이터, 서울시 유치원 (위치+수용능력) 데이터

 

STEP-1: 공급 단계

서울시 유치원 데이터에는 유치원의 위치와 유치원 당 수용능력이 기록되어 있습니다. 1km 버퍼를 씌웁니다.

서울시 동별 데이터에서 중심점(Centroid)을 나타냅니다. 이렇게 만들어진 수요지점 데이터에는 동별 인구가 기록되어 있습니다.

[위치에 따라 속성 결합 (요약)] 도구를 사용하여 각 유치원의 1km 범위 안에 있는 수요지점에 있는 인구의 합을 구합니다.

유치원 버퍼 데이터에 각 유치원에 대한 수요의 합이 기록되었습니다.

유치원 별로 수요1명 당 공급(수용)능력을 구합니다.

이렇게 완성된 유치원 데이터를 공급지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[필드 값으로 속성 결합] 도구를 사용하여 유치원 점 데이터로 넘겨줍니다.

각 공급 지점마다 공급 능력이 나와 있는 점 데이터가 완성되었습니다.

 

STEP-2: 수요 단계

이번에는 각 수요 지점(동별 중심점)에 버퍼를 씌워 [위치에 따라 속성 결합 (요약)] 도구를 사용하여 각 수요 지점마다 반경 1km 안에 있는 유치원에서 끌어올 수 있는 공급능력의 합을 구합니다.

이렇게 완성됩니다. 

동별 shp 파일에 [필드 값으로 속성 결합] 도구를 이용하여 공급 능력의 합을 넘겨줍니다.

 

적절하게 지도를 완성해 줍니다.